728x90

꼭 알아두어야 하는 가산명사.pdf
0.03MB

가산과 불가산 명사의 차이

가산 명사란?

가산 명사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세어질 수 있는 명사를 말합니다. 이러한 명사는 단수와 복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나', '두 개', '세 개' 등의 수량을 나타내는 단어와 함께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과'는 가산 명사로, '하나의 사과', '두 개의 사과'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불가산 명사란?

반면에 불가산 명사는 세어낼 수 없는 명사를 뜻합니다. 이런 명사는 일반적으로 단수 형태만을 가지며, '많은', '적은', '조금' 등의 수량을 나타내는 단어와 함께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우유'는 불가산 명사로, '많은 우유', '적은 우유'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의 차이점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세어낼 수 있는가?'에 있습니다. 가산 명사는 개별적으로 세어낼 수 있는 대상을 나타내는 반면, 불가산 명사는 일반적으로 질량이나 개념을 나타내며 개별적으로 세어낼 수 없습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문장에서 명사의 적절한 사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단수 명사와 복수 명사의 구분

단수 명사

단수 명사는 하나의 개체 - 사람, 장소, 물건, 아이디어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s"로 끝나지 않으며, 몇 가지 불규칙한 명사를 제외합니다. 예를 들어, "book, " "table, " 그리고 "child"는 모두 단수 명사입니다. 주어와 동사의 일치는 영어 문법의 기본 규칙이므로 단수 명사에는 단수 동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수 명사

반면에, 복수 명사는 둘 이상의 개체를 나타냅니다. 영어에서는 대부분의 명사가 "s"나 "es"를 끝에 붙여 복수로 만들어지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books," "tables, " 그리고 "children"이 있습니다. 복수 명사는 항상 복수 동사와 짝을 이뤄야 합니다.

토익에서의 단수 명사 vs 복수 명사

토익 시험에는 종종 단수 명사와 복수 명사의 이해를 시험하는 문제가 포함됩니다. 주어와 동사의 일치를 확실히 하고, 올바른 한정사와 대명사를 선택하기 위해 명사가 단수인지 복수인지 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토익 응시자들은 불규칙한 복수형과 단수형과 복수형이 같은 명사 (예: "sheep, " "fish")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사람 명사와 사물 명사의 구분

사람 명사

사람 명사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사람을 나타냅니다. 이들은 "선생님," "의사, " "학생"과 같은 개인이거나 "팀, " "가족, " "승무원"과 같은 사람들의 그룹일 수 있습니다. 영어에서는 사람 명사가 종종 특정한 동사, 대명사, 그리고 어구를 요구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그녀는 선생님입니다"라고 하지만 "그것은 선생님입니다"라고 하지 않습니다. 사람 명사의 이러한 고유한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영어 문법과 용법에 대한 당신의 이해를 크게 향상할 수 있습니다.

사물 명사

반면에, 사물 명사는 물건, 장소, 아이디어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책," "도시, " "자유" 등이 있습니다. 사람 명사와 달리, 사물 명사는 대부분 "그것"이나 "그들"과 같은 비인간 대명사로 동반됩니다. 또한, 종종 다른 어구와 동사 형태를 요구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그것은 책입니다"라고 말하고 "그녀는 책입니다"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사물 명사를 둘러싼 규칙을 마스터하는 것은 영어로 아이디어를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데 중요합니다.

토익에서의 사람 명사 vs 사물 명사

토익 시험에는 종종 사람 명사와 사물 명사의 이해를 시험하는 문제가 포함됩니다. 주어와 동사의 일치를 확실히 하고, 올바른 한정사와 대명사를 선택하기 위해 명사가 사람인지 사물인지를 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목"이나 "안내자"와 같이 사람과 사물 둘 다를 가리킬 수 있는 명사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하며,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 한정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그 명사가 가리키는 사람이나 물건의 범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는 품사입니다. 'the', 'a', 'an', 'my', 'your', 'his', 'her', 'its', 'our', 'their' 등이 한정사의 예입니다.

728x90
반응형

'영어 > 토익part5'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2 동사  (1) 2023.11.22
chapter1-5 복합명사  (2) 2023.11.21
chapter1-4 가산 vs 불가산 명사  (4) 2023.11.20
chapter1-2 토익에서의 명사 위치  (1) 2023.11.18
chapter1-1 명사) 명사 이해하기 : 종류와 용법  (1) 2023.11.17
728x90

토익에서 사용되는 명사의 위치에 대한 분석

 

토익 시험에서는 문법 지식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 명사의 위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토익에서 자주 나오는 세 가지 명사의 위치에 대해 상세하게 논의하겠습니다.

명사가 문장의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

토익에서 가장 자주 보게 되는 명사의 위치는 문장의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명사는 동사 앞에 위치하며, 그것이 행동의 주체임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The manager will make a presentation."에서 'manager'는 문장의 주어로 사용된 명사입니다. 이 문장에서, 'manager'는 행동(즉, presentation을 만드는 행동)의 주체가 됩니다. 이러한 이해는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명사가 문장의 목적어로 사용되는 경우

또 다른 자주 나오는 명사의 위치는 문장의 목적어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명사는 동사 뒤에 위치하며, 그것이 동작이나 상태의 대상임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She is reading a book."에서 'book'은 문장의 목적어로 사용된 명사입니다. 여기서 'book'은 동작(즉, reading)의 대상이 됩니다. 이러한 이해는 동작의 방향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되는 경우

세 번째로, 명사는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명사는 전치사 뒤에 위치하며, 위치, 시간, 원인 등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I am in the library."에서 'library'는 전치사 'in'의 목적어로 사용된 명사입니다. 여기서 'library'는 위치를 나타내며, 이러한 이해는 문장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론

토익에서 명사의 위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고, 따라서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명사가 문장의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 문장의 목적어로 사용되는 경우,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되는 경우 - 이 세 가지 경우를 이해하고 기억하면, 토익 시험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문법 지식은 토익 시험뿐만 아니라 영어 사용에 있어서도 매우 유용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명사란 ?

명사는 사람, 장소, 사물,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언어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명사를 분류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를 통해 문장에서 명사의 기능과 특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일반명사, 고유명사, 집합명사라는 세 가지 주요 카테고리를 살펴볼 것입니다.

일반명사

일반명사는 특정한 것이 아닌 일반적인 항목이나 개념을 명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것들은 특정 환경에 유일한 것이 아닌 기본적인, 일상적인 것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테이블", "고양이", "도시"는 모두 일반명사입니다. 일반명사를 이해하는 것은 일상 언어에서 사용되는 명사의 대부분을 형성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고유명사

반면에 고유명사는 특정한 사람, 장소, 기관과 같은 특정 엔티티를 나타냅니다. 그들은 항상 영어에서 대문자로 표시되어 특별함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John", "Paris", "Microsoft"는 고유명사입니다. 고유명사는 통신에서 특정성을 제공하며, 우리가 고유한 엔티티를 명확하게 식별하고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집합명사

집합명사는 단일 단위로 취급되는 엔티티의 그룹이나 집합을 가리킵니다. "Team",  "Class” 와 같은 단어들이 이 범주에 속합니다. 이러한 명사는 그룹을 전체로서 참조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요약하면, 명사의 다양한 유형 - 일반, 고유, 집합 -을 이해하는 것은 언어의 이해와 사용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명사는 단지 단어가 아니라, 우리 문장의 구조를 지지하는 기둥입니다. 명사의 종류와 그 기능을 인식함으로써, 우리는 더 정확하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 Have you ever ~? / ~ 해본 적 있어?   + 과거분사 써주기

★ you + 과거동사  → 회화할 때 말할때는 가능함. 문법적으로는 피하기.

★ What is your best ~? /네가 제일 좋아하는 ~?

     - best 대신, number one 가능

★Do you know ~? 

    - 개인적으로 '진짜' 알때는 가능

 

 

ex ) 

- have you ever heard of BTS?  / BTS 알아?

- what is your best food? / 네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이 뭐야?

 

 

reaction!

- oh really?

- exactly!

- yes!

- That's what I'm saying!

 

 

 

728x90
반응형
728x90

개념1 : 이거 뭐야 ? 저거 뭐야 ?

What is ( this - 이것 /that - 저것 )?

 

개념2 : 이건/저건 ~(이)야.

This/That is + (명사).

 

단수 - 단수 be 동사

 

 

 

개념3 : 이것들/저것들은 뭐야?

What are these/those?

 

개념4 : 이것들/저것들은~(이)야

These -이것들 /Those - 저것들 are ~

 

복수- 복수be동사

 

 

 

- 상대방이 what is this? 라고 물었을 때 내기준 가까우면 this~, 멀면 that~ 

 

- those 로 물어보고 these로 대답 하는 이유

'우리' 입장에서 '저것들'이고 상대방 입장이 '이것들' 

 

- this → these, that → those

 

 

728x90
반응형
728x90

개념1. 일반 동사의 부정문

(주어)+(do not) +(동사)

(삼인칭 단수 주어)+( does not) + (동사)

 

개념 2. 축약형을 만든 부정문

(주어)+(don’t)+(동사)

(삼인칭 단수 주어) + (doesn’t)+(동사)

 

 

예시문

1) We don't know him. - 우린 그 남자를 몰라

2) I don't eat hamburgers. - 나는 햄버거를 안 먹어.

3) I don't like wine. - 나는 와인을 안 좋아해

4) You don't know the answer. - 너는 답을 몰라

5) The car doesn't have a radio. - 그 차에는 라디오가 없어.

 

728x90
반응형

'영어 > 기초영어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대화 주제 ) 기본영어회화  (0) 2023.05.07
this, that 차이) 기초영어지식  (0) 2023.05.05
728x90

목차

건강불평등과 건강형평성

건강불평등 관련 요인

사회문화적 다양성

건강불평등 완화와 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한 간호

 

 

1. 건강 불평등

 

1 ) 건강불평등과 건강형평성

건강불평등 )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물이익으로 인해 특정 인구집단에 존재하는 질병의 발생률, 유병률, 사망률, 질병으로 인한 부담의 차이를 말한다.

간강형평성 ) 개인이 가장 좋은 상태의 건강잠재력을 달성할 수 있는 기회를 균등하게 가지고, 누구라도 불이익을 경험하지 않을 때 실현될 수 있다. 

 

2 ) 건강불평등 관련요인

연령, 성별, 민족성과 인종, 지역, 교육 수준, 수입, 직업, 건강정보이해능력, 성적지향, 의료인의 태도

 

2. 사회문화적 다양성

1) 문화와 문화적 역량

문화적역량 ) 대상자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최대의 건강효과를 추구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간호사는 )

- 대상자의 문화적 요구이해

- 대상자의 관련 안내책자, 연구논문, 기록물 등을 통해 지식 쌓기

 

2) 보건의료환경의 문화적 다양성

-외국인의 국내 인구분포는 더 이상 간과할 수 없을 정도.

 

3) 건강과 보건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

- 문화 간 의사소통 

: 문화적 갈등은 각기 다른 문화적 신념, 가치, 예절 등과 연관.

- 가족 역할과 관계

- 영성과 종교

- 민간 의학과 전통적 치료

- 심리적 요인

- 사적인 공간구역

- 접촉, 영양

- 이민자와 이민, 약물

 

3. 건강불평등 완화와 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한 간호

-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기술

- 표준화된 서비스 지침 이용

- 지역사회에서 간호사의 역할 : 옹호

 

728x90
반응형

'간호 >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디지털 헬스케어  (0) 2023.04.29
성인간호학) 전문적 간호실무  (0) 2023.04.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