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디지털 헬스케어
간호와 디지털 헬스케어
전자건강기록
1) 개요
: 4차 산업혁명이 주목받고 있음.
- 영국에 치매환자에게 사물인터넷 기기설치, 모니터링 시범사업 실시
- 웨어러블 기기로 바이탈 측정
- 모바일을 이용한 보건의료 콜센터, 원격의료 등 가능
- 인공지능이용, 의학적 통찰력 도출가능.
2) 디지털 헬스케어
헬스케어 : 치료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의료서비스 관점에서 관리의 개념이 융합된 총제적인 건강관리를 의미
디지털 헬스케어 :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건강을 증진. 스마트 헬스케어, 원격의료, 의료 빅데이터, 웨어러블 헬스 케어 등을 포함, 4차 산업혁명과 보건사업에 있어 중요하게 부각.
3) 간호와 디지털 헬스케어
- 기술의 발전은 간호제공의 효율성 증가, 간호환경의 향상.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건강관리팀 간의 의사소통 증진, 제공
- 약물제공중재를 포함한 유사 발음 약물 오류 감소로 대상자의 안전증진
- 센서기술은 고위험 낙상 환자에게 적용하여 다수의 낙상건수 감소.
- 현재 건강, 복지, 안전등으로 간호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기술을 융합한 간호서비스 개발 활성화 되고 있다. (그림 2-3 ) ICT 간호는 간호교육과 임상 수행의 접근법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들에게 달려있음, 간호사는 간호 전문직의 강점인 전인적 돌봄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여 교육. 임상 환경 모두에서 ICT 사용에 적극적으로 개발 및 이용해야 함.

4) 전자 건강기록
- 근거 기반 간호와 연구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고, 간호중재 방법을 변경하거나 형성 할 수 있는 잠재력 지님.
- 투약안전 향상과 간호지시, 퇴원지시등의 명확성이 증가할 수 있다.
- 간호 행위의 츨정이 가능
- 다른 보건의료제공자는 다양한 사용자의 접근을 동시에 기록, 포괄적 기록을 열람할 수 있음.
- 즉각적 예방치료 프로토콜 생성 시스템을 통해 건강전달시스템의 정확한 전달을 향상.
- 환자측면) 건강정보의 통제와 접근제한이 완화되며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모범사례 사용도 증가될 수 있음.
- 고려사항) 인프라 구축 관련 비용, 공통용어 부족, 사생활 침해, 안전성 문제, 보안 사항, 시스템 장애 등
- 기록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공유, 갱신되기 때문에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과 자료가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 자료가 실제로 어떻게 저장될 것인가에 대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야 함.
'간호 >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건강불평등과 사회 문화적 다양성 (0) | 2023.05.03 |
---|---|
성인간호학) 전문적 간호실무 (0) | 202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