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형식 동사란? 

형식 동사는 문장에서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주어와 동사 사이에 별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이러한 형식 동사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이 게시물에서는 3 형식, 4 형식, 5 형식 동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3 형식 동사

3 형식 동사는 주어, 동사, 목적어를 가지는 문장 구조입니다. 이 형식은 행위자가 행동을 수행하고, 그 행동이 누군가 또는 무언가에 영향을 미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책을 읽는다"는 문장에서 '나'는 주어, '읽는다'는 동사, '책'은 목적어입니다.

4 형식 동사

4 형식 동사는 주어, 동사, 간접 목적어, 직접 목적어를 가지는 문장 구조입니다. 이 형식은 행위자가 행동을 수행하고, 그 행동이 누군가에게 영향을 주며, 그 영향이 무언가에 대해 적용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그에게 책을 준다"는 문장에서 '나'는 주어, '준다'는 동사, '그에게'는 간접 목적어, '책'은 직접 목적어입니다.

5 형식 동사

5형식5 형식 동사는 주어, 동사, 간접 목적어, 직접 목적어, 보어를 가지는 문장 구조입니다. 이 형식은 행위자가 행동을 수행하고, 그 행동이 누군가에게 영향을 주며, 그 영향이 무언가에 대해 적용되고, 그 결과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그에게 책을 좋은 선물로 준다"는 문장에서 '나'는 주어, '준다'는 동사, '그에게'는 간접 목적어, '책'은 직접 목적어, '좋은 선물로'는 보어입니다. 5 형식 동사의 수동태 구조는 주어, be동사 p.p, 명사/형용사의 구조가 됩니다.

 

* 빈출 5형식 동사

appoint ~을 ~로 임명하다 think ~을 ~라고 생각하다, 여기다
call ~ 을 ~라고 부르다 leave ~을 ~한 상태가 되게 하다
elect ~을 ~로 선출하다 find ~이 ~임을 알다
make ~을 ~로 만들다 consider ~을 ~라고 간주하다
believe ~ 을 ~로 선택하다 keep ~을 ~한 상태로 유지하다
choose ~을 ~로 선택하다 deem( regard / consider ) ~을 ~라고 여기다
name ~을 ~로 임명하다, ~을 ~라고 이름 짓다

 

형식 동사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3 형식, 4 형식, 5 형식 동사는 주어와 동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각각 다른 문맥에서 사용됩니다. 이들 형식을 이해하면 한국어 표현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2-3에서 자동사 vs 타동사 와 형식동사를 연결한 표

  동사 목적어 보어
자동사 1형식 동사 x x
2형식 동사 x 명사, 형용사
타동사 3형식 동사 목적어(~을/를) x
4형식 동사 간접목적어(에게) + 직접목적어 (~을/를) x
5형식 동사 목적어(~을/를) 명사, 형용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