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익에서의 주어-동사 수일치
주어-동사 수일치의 기본 규칙은 단수 주어는 단수 동사를 취하고, 복수 주어는 복수 동사를 취한다는 것입니다. 현재시제에서 단수 동사는 일반적으로 's'로 끝나는 반면(예: walks, talks), 복수 동사는 's'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he walks' (단수) 대비 'they walk' (복수)입니다. 완료 시제에서는 단수 주어는 'has'와 과거 분사(e.g., has walked)를 취하고, 복수 주어는 'have'와 과거 분사(e.g., have walked)를 취합니다.
토익에서의 능동태와 수동태
영어에는 능동태와 수동태라는 두 가지 태가 있습니다. 능동 문장에서는 주어가 행동을 수행합니다(예: 'The cat chased the mouse'). 수동 문장에서는 주어가 행동을 받습니다(예: 'The mouse was chased by the cat'). 후자는 'be'와 동사의 과거 분사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by'로 시작하는 행동의 수행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능동태와 수동태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다양한 관점을 표현하는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동사 수일치와 태에서의 예외
동사의 수일치와 태에 대한 규칙은 일반적으로 분명하지만, 고려해야 할 예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동사 구문(자동사와 전치사가 따르는 경우)은 수동태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veryone laughed at the joke'은 'The joke was laughed at'로 바뀔 수 있습니다.
point
주어와 동사의 단/복수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주어 | 동사의 수 | 현제시제 | 현재완료 | |
→ | 복수동사 | 동사원형 | have p.p(-ed) | |
단수 | → | 단수동사 | 동사원형+(e)s | has p.p(-ed) |
빈칸 뒤에 목적어가 없으면 대부분 수동태가 답
주어+동사+목적어 → 능동태
목적어 + be+p.p(동사 +ed) + (by 주어(행위자) → 수동태(완전문장)
*예외 (자동사 + 전치사) 숙어의 경우 → 수동태 가능.
'영어 > 토익part5'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2 -4 3형식,4형식,5형식 동사 (2) | 2023.11.26 |
---|---|
chapter2 -3 목적어가 없는 자동사 vs 타동사 (2) | 2023.11.25 |
chapter2 -1동사의 문제풀이 순서/ 본동사와 준동사 (4) | 2023.11.23 |
chapter2 동사 (1) | 2023.11.22 |
chapter1-5 복합명사 (2) | 2023.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