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형식 동사란? 

형식 동사는 문장에서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주어와 동사 사이에 별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이러한 형식 동사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이 게시물에서는 3 형식, 4 형식, 5 형식 동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3 형식 동사

3 형식 동사는 주어, 동사, 목적어를 가지는 문장 구조입니다. 이 형식은 행위자가 행동을 수행하고, 그 행동이 누군가 또는 무언가에 영향을 미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책을 읽는다"는 문장에서 '나'는 주어, '읽는다'는 동사, '책'은 목적어입니다.

4 형식 동사

4 형식 동사는 주어, 동사, 간접 목적어, 직접 목적어를 가지는 문장 구조입니다. 이 형식은 행위자가 행동을 수행하고, 그 행동이 누군가에게 영향을 주며, 그 영향이 무언가에 대해 적용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그에게 책을 준다"는 문장에서 '나'는 주어, '준다'는 동사, '그에게'는 간접 목적어, '책'은 직접 목적어입니다.

5 형식 동사

5형식5 형식 동사는 주어, 동사, 간접 목적어, 직접 목적어, 보어를 가지는 문장 구조입니다. 이 형식은 행위자가 행동을 수행하고, 그 행동이 누군가에게 영향을 주며, 그 영향이 무언가에 대해 적용되고, 그 결과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그에게 책을 좋은 선물로 준다"는 문장에서 '나'는 주어, '준다'는 동사, '그에게'는 간접 목적어, '책'은 직접 목적어, '좋은 선물로'는 보어입니다. 5 형식 동사의 수동태 구조는 주어, be동사 p.p, 명사/형용사의 구조가 됩니다.

 

* 빈출 5형식 동사

appoint ~을 ~로 임명하다 think ~을 ~라고 생각하다, 여기다
call ~ 을 ~라고 부르다 leave ~을 ~한 상태가 되게 하다
elect ~을 ~로 선출하다 find ~이 ~임을 알다
make ~을 ~로 만들다 consider ~을 ~라고 간주하다
believe ~ 을 ~로 선택하다 keep ~을 ~한 상태로 유지하다
choose ~을 ~로 선택하다 deem( regard / consider ) ~을 ~라고 여기다
name ~을 ~로 임명하다, ~을 ~라고 이름 짓다

 

형식 동사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3 형식, 4 형식, 5 형식 동사는 주어와 동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각각 다른 문맥에서 사용됩니다. 이들 형식을 이해하면 한국어 표현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2-3에서 자동사 vs 타동사 와 형식동사를 연결한 표

  동사 목적어 보어
자동사 1형식 동사 x x
2형식 동사 x 명사, 형용사
타동사 3형식 동사 목적어(~을/를) x
4형식 동사 간접목적어(에게) + 직접목적어 (~을/를) x
5형식 동사 목적어(~을/를) 명사, 형용사 ….
728x90
반응형
728x90

토익에서의 주어-동사 수일치

주어-동사 수일치의 기본 규칙은 단수 주어는 단수 동사를 취하고, 복수 주어는 복수 동사를 취한다는 것입니다. 현재시제에서 단수 동사는 일반적으로 's'로 끝나는 반면(예: walks, talks), 복수 동사는 's'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he walks' (단수) 대비 'they walk' (복수)입니다. 완료 시제에서는 단수 주어는 'has'와 과거 분사(e.g., has walked)를 취하고, 복수 주어는 'have'와 과거 분사(e.g., have walked)를 취합니다. 

토익에서의 능동태와 수동태

영어에는 능동태와 수동태라는 두 가지 태가 있습니다. 능동 문장에서는 주어가 행동을 수행합니다(예: 'The cat chased the mouse'). 수동 문장에서는 주어가 행동을 받습니다(예: 'The mouse was chased by the cat'). 후자는 'be'와 동사의 과거 분사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by'로 시작하는 행동의 수행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능동태와 수동태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다양한 관점을 표현하는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동사 수일치와 태에서의 예외

동사의 수일치와 태에 대한 규칙은 일반적으로 분명하지만, 고려해야 할 예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동사 구문(자동사와 전치사가 따르는 경우)은 수동태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veryone laughed at the joke'은 'The joke was laughed at'로 바뀔 수 있습니다.

 

point

주어와 동사의 단/복수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주어   동사의 수 현제시제 현재완료
  복수동사 동사원형 have p.p(-ed)
단수 단수동사 동사원형+(e)s has p.p(-ed)

 

 

빈칸 뒤에 목적어가 없으면 대부분 수동태가 답

주어+동사+목적어 → 능동태

목적어 + be+p.p(동사 +ed) + (by 주어(행위자) → 수동태(완전문장)

*예외 (자동사 + 전치사) 숙어의 경우 → 수동태 가능.

728x90
반응형
728x90

동사의 문제풀이 순서

  • 하나의 문장에는 반드시 하나의 동사가 존재한다.
  • 복잡한 문장 구조에는 수식어구를 제거하고, 주요 성분만 남긴다.
  • 동사와 접속사의 개수를 보고 →수→태→시제 순으로 따진다.

 

준동사란?

준동사는 동사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면서 동사, 명사, 형용사 등 다른 품사의 역할을 하는 동사를 말합니다. 준동사는 주로 to 부정사, 동명사, 과거 분사의 세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1. To 부정사: 동사 뒤에 'to'가 붙어 동사의 원형을 이룹니다. 이 형태는 주로 목적이나 의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I plan to study"에서 'to study'가 to 부정사입니다.
  2. 동명사: 동사 뒤에 '-ing'가 붙어 형성되며, 주로 주어나 목적어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Swimming is fun"에서 'Swimming'이 동명사입니다.
  3. 과거 분사: 동사의 과거형이나 과거 분사형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주로 수동 구조나 완료 구조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The letter was written by him"에서 'written'이 과거 분사입니다.

준동사는 문장 내에서의 역할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며, 그것이 어떤 형태인지를 알아보는 것은 문장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본동사란?

본동사는 문장에서 중심이 되는 동사로, 문장의 주요한 의미를 나타냅니다. 본동사는 문장의 주어와 동일한 수와 인칭에 맞춰 변화하며, 주로 시제나 태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She reads a book"에서 'reads'가 본동사입니다. 본동사는 문장의 핵심 행동이나 상태를 설명하므로 문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동사와 준동사를 구분하는 것은 문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1. 본동사: 본동사는 문장의 핵심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동사입니다. 이 동사는 문장의 주어와 동일한 수와 인칭에 따라 변화하며, 주로 시제나 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She reads a book"에서 'reads'는 본동사입니다.
  2. 준동사: 준동사는 동사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품사의 역할을 하는 동사입니다. 준동사는 to 부정사, 동명사, 과거 분사의 세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I like to swim", "Swimming is fun", "The letter was written by him"에서 'to swim', 'Swimming', 'written'은 모두 준동사입니다.

이 두 가지 동사의 유형을 이해하고 구분하는 것은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영어 > 토익part5'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2 -3 목적어가 없는 자동사 vs 타동사  (2) 2023.11.25
chapter2 -2 동사의 수일치와 태  (1) 2023.11.24
chapter2 동사  (1) 2023.11.22
chapter1-5 복합명사  (2) 2023.11.21
chapter1-4 가산 vs 불가산 명사  (4) 2023.11.20
728x90

토익에서의 동사란?

동사는 언어에서 행동, 사건, 상태 등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이는 문장에서 중심 역할을 하며, 주로 무엇을 하는지 또는 어떤 상태인지를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달리다", "먹다", "공부하다" 등이 동사의 예입니다.

 

동사의 종류

  1. 일반 동사(General Verbs): 이들은 문장에서 주요 행동을 나타내며, 동사의 기본적인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run", "eat", "study" 등이 있습니다.
  2. 비동사(Non-Verbs): 이들은 주요 동사 외에 문장에서 다른 기능을 하는 동사를 의미합니다. 비동사에는 명사, 형용사, 부사 등 다른 품사의 역할을 하는 동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running", "eaten", "studied" 등이 있습니다.
  3. 조동사(Auxiliary Verbs): 동사의 시제, 부정, 의문, 조동사 등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be", "have", "do", "will", "can"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동사의 용법

동사는 시제, 목적어, 전치사 등과 함께 사용되어 문장을 구성합니다. 올바른 동사의 용법을 이해하려면 동사의 형태와 함께 이러한 문법 요소의 사용법을 알아야 합니다. 토익에서는 다양한 동사의 용법이 시험 문제로 나오므로,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동사의 용법에 따라 문장의 전체적인 의미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사의 문제 해결 전략

토익 시험이나 공부 과정에서 동사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은 다양합니다. 동사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 동사의 형태와 용법을 이해하고, 문장에서 동사의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문장의 맥락에서 동사의 적절한 사용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입니다. 이 외에도, 동사가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 그에 따른 문맥상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